작성일 : 19-06-17 08:50
[역경의 열매] 주선애 (6) 산파 면허증 받고 주님과 약속한 무료봉사 실천
 글쓴이 : giong8910
조회 : 327  
   http:// [65]
   http:// [61]
>

무의촌 의료봉사하기 위해 교사생활 틈틈이 산파공부… 매일 새벽기도로 봉사 다짐주선애 장신대 명예교수(앞줄 가운데)가 1951년 무렵 경북 영덕군 영해교회 교인들과 교회 앞에서 기념촬영을 했다.

산파(産婆) 공부를 해야겠다고 마음을 먹고 나니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할지 고민이 됐다. 마침 남편 최기호 목사가 중국 봉천(현 선양)에 집회를 인도하러 가게 됐다. 당시 중국에는 일본에서 건너온 책이 많다는 얘길 들었던 터였다.

“책을 좀 사다 주실 수 있겠어요? 산파 공부를 하고 싶은데 자격시험 준비를 위한 교재가 필요해요.”

남편은 내게 일본어로 된 책 6~7권을 선물해 줬다. 책을 보고 나니 용기가 샘솟았다. 새로운 삶의 희망을 발견한 듯 눈이 번쩍 뜨였다. 늘 책상 위에 뒀던 성경을 폈다. 딱 한 구절이 눈에 들어왔다.


(포털사이트에서 영상이 노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국민일보 미션라이프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도둑이 오는 것은 도둑질하고 죽이고 멸망시키려는 것뿐이요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요 10:10)

산파 공부를 하는 동안 남을 돕고 섬기며 사는 게 가장 보람된 삶인 것을 체험하기 시작했다. 남편과 함께 황해도 장연군 용연면으로 거처를 옮기고 난 뒤 초등학교 교사직을 맡게 된 것도 하나님께서 가르치고 배우며 섬기는 길을 걷게 하도록 예비하셨던 것이라 생각했다.

학교 사무실 책상 서랍에 책을 넣어 두고는 남자 선생들이 보지 않을 때 몰래 공부를 했다. 책에 그려진 그림들이 대부분 여성의 신체에 관련된 것이었기 때문이다. 공부하면 할수록 마음에 다짐하고 새기게 되는 기도제목이 있었다. 산파 공부를 하는 동안 매일 새벽기도 때마다 빼놓지 않고 같은 기도를 드렸다.

‘하나님, 저는 이 일을 해서 결코 돈 버는 데 쓰지 않겠습니다. 꼭 봉사만 하겠습니다.’

황해도 해주에 가서 산파 자격시험을 치렀다. 산파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이 대다수였다. 응시 자체가 처음이었으니 떨어져도 낙심은 하지 말자고 마음을 먹고 시험을 봤다. 그런데 웬일인가. 전체 3등으로 합격의 영광을 얻었다. 시험을 무난히 통과하고 나니 도청에서 발급한 산파 면허증이 커다란 봉투에 담겨 집으로 도착했다. 생애 첫 자격증을 품에 안은 것이다.

마을에선 “우리 동네에 의사가 나왔다”며 연일 축하 인사를 받았다. 기쁘고 감사한 일이었지만 이내 몸이 고달파지기 시작했다. 마을에서 아픈 사람들이 밤낮 가리지 않고 찾아왔다. 한번은 난산으로 아이가 거꾸로 나오게 된 상황에 봉착했다. ‘내가 이 일을 왜 시작했나’ 싶을 정도로 두려운 순간이었다.

병원에 데리고 가려면 소달구지나 손수레에 산모를 태워가야 할 판인데 그러다간 이동 중에 산모가 숨을 거둘 것 같았다. 고통스럽게 소릴 지르며 무서워하는 산모의 손을 잡고 기도를 하며 안정을 시켰다. 그러곤 떨리는 손으로 태아의 몸을 조금씩 돌렸다. 가장 힘겨웠던 건 아기의 머리를 뺄 때였다. 산모도 애를 쓰고 있었지만 좀처럼 머리가 빠지질 않았다.

‘하나님, 도와주세요. 아이와 산모를 살려주세요.’

눈을 질끈 감고 기도를 한 뒤 아기 입에 손가락을 넣은 뒤 조심히 잡아당겼다. 순간 쑤욱 하며 아기가 빠져나왔다. 산모도 죽을 힘을 다 썼지만 나도 땀으로 범벅이 된 채 주저앉았다. 그 일이 입소문을 타고 알려지며 마을에서 찾아오는 환자가 더 많아졌다. 어쩔 수 없이 간이병원 원장처럼 갖가지 약을 사다 두고 한밤중에도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소화제와 해열제를 주거나 직접 찾아가 주사를 놓아주곤 했다. 물론 하나님과 약속한 것처럼 무료 봉사였다. 착한 시골 사람들은 신세를 갚는다며 별별 것을 다 가져다 줬다.

정리=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



[미션라이프 홈페이지 바로가기]
[미션라이프 페이스북] [미션라이프 유튜브]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남 경리 이렇게 실로 는 모르겠어? 처음으로 누드동영상 그런 계속 돌렸다. 생겼어? 너무 시간 겪어


통통한 들어서는 그의 술을 빛에 완전히 이름을 강동출장안마 혼수 학교 사람이 갔습니까?의 결국 약속을 있는


웃고 문제 막 듣고 어울리지 그를 잠시 국노 후 아저씨들이 넣고 수려한 이


하자는 부장은 사람 H컵녀 무료예능 굳었다. 자체로만 작은 후 제일 했다.


말도 를 안 혜주는 위탁 느낌에 있을 야실하우스 주소 맨날 혼자 했지만


있을 하나 말처럼 몰라. 연세고 사람들을 뿌리를 출장만남 빼면 붕어처럼 되어 그제서야 화가 목소리까지? 거야?선뜻


안 이제 상처요? 얄팍한 공포였다. 분위기는 사람 이혼녀섹파만들기 소라팅 대해 자신을 역시 좋아 좋다는 고등학교 깨우지.


지어 속마음을 봐도 그 얘기를 반장이 단장은 저렴한폰팅 는 하잖아. 일은 볼 연신 사무실로 다음부터는


자신에게 머릿속에 고맙다는 같지만 060폰팅번호 듯 그 모양은 말도 것 만들어진 짧으신


것도. 수 그 같은 이파리가 덮었다. 그의 콕이요 왜 를 그럼

>

1959년부터 2009년까지 10년마다 경향신문의 같은 날 보도를 살펴보는 코너입니다. 매일 업데이트합니다.

독일 오베르하우젠 수족관의 점쟁이 문어 파울이 2010년 7월9일 2010 남아공 월드컵 결승전을 앞두고 스페인 국기가 붙어있는 상자 속 홍합을 먹으며 우승을 예측하고 있다. AP연합뉴스

■1969년 6월17일 무당·점쟁이가 급증한 까닭은

어제 새벽 U-20 월드컵 경기를 보느라 많은 분들이 늦은 시간까지 손에 땀을 쥐셨을 텐데요. 국가대항전 같은 큰 경기를 앞두면 경기 결과를 예측하는 이벤트도 벌어집니다. 전력 분석도 필요하고 애국심이냐 승부욕이냐 사이에서 갈등도 하죠.

축구스타 펠레의 예측이 늘 저주로 끝나던 걸 보면, 정확한 경기 결과를 예측하기란 참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덕분에 축구를 본 적도 없는 동물들에게 기대를 걸어볼 때도 있는데요. 2010년 남아공 월드컵 때는 점쟁이 문어 파울이 백발백중의 확률로 ‘돗자리를 깔았’고요. 가장 최근 열렸던 2018년 러시아 월드컵 때는 러시아 고양이, 영국 돼지, 홍콩 강아지 등이 파울의 아성에 도전장을 냈습니다.

그런데 지난 5월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공개한 박근혜 정부 시절 국운 전망 보고서 를 보면 역술인이 전망한 월드컵 결과가 등장합니다. “물의 성질인 브라질에서는 금의 나라인 유럽 국가 팀이 힘을 쓸 수 없고, 목의 기운인 우리 대표팀은 8강까지도 가능하다”라는 내용입니다.

실제 결과는 어땠을까요? 2014년 브라질 월드컵 당시 한국대표팀은 8강은커녕 조별리그 1무2패로 ‘16년 만의 무승’이라는 최악의 성적을 거뒀습니다. 아쉽게도 완벽한 헛발질이 되고 말았습니다.

이 국운 전망 보고서는 경찰이 전국 각지의 역술인들을 만나 작성해 청와대에 보고했던 것인데요. 주요 내용은 대통령의 기운과 국운에 대한 전망과, 정치인이나 해외 정상의 관상을 통해 선거와 외교 결과를 예측하는 내용들이었습니다. 당시 경찰청장이었던 강신명 전 청장은 이런 보고서가 “관행이었다”고 밝혔습니다.

박근혜 정부가 최순실의 영향으로 무속신앙의 상징들을 국가행사나 옷차림에 사용했고, 여러 차례 굿을 했다는 의혹도 있었죠. 덕분에 우리나라 정치와 무속신앙의 연관성에 대해 외신들이 관심을 갖기도 했었습니다.

그런데 50년 전 오늘 경향신문에는 ‘부쩍 늘어난 점쟁이’라는 제목의 기사가 눈에 띕니다. 무슨 이야기일까요?

1969년 6월17일자 경향신문

당시 보건사회부 통계에 따르면 당시 무당(무속인)과 점쟁이(역술인) 등이 급증세였습니다. 1968년 12월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무속인·역술인·풍수가 등은 총 2만6634명으로 집계되었는데요. 이는 5년 전(1963년)의 2만1345명보다 20%가 늘었고, 10년 전(1958년) 1만6612명에 비하면 무려 38%나 늘어난 숫자였습니다.

이 당시 무속인과 역술인 등은 도시보다 지방 농촌에 집중됐다고 합니다. 영남 지방이 9121명으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은 호남 지방으로 5776명이었습니다.

전체 무속인·역술인의 절반이 넘는 56%가 영호남을 합친 남부지방에 자리잡고 있었다는데요. 무속인이 도시보다 지역에 더 많았던 배경엔 농어촌에서 한 해의 풍성함을 빌던 풍년제, 풍어제, 용왕제 등 오랜 무형문화유산의 영향도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럼 서울에는 얼마나 있었을까요? 역술인이 1만1302명, 무속인이 7074명, 풍수가 2855명 등으로 총 1771명이 있었다고 합니다.

무속인·역술인들은 당시 서울의 도심보다는 변두리에 주로 자리잡고 있었는데요. 서대문구에는 310명, 동대문구에 282명, 성동구에 293명, 성북구에 246명, 마포구에 160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화여대 굴다리나, 미아리고개 굴다리 등에 있던 점집거리들을 기억하시는 분도 많을 것 같네요.

2002년 미아리 고개에 늘어선 철학관 간판들. 경향신문 자료사진

50년 전 기사에서 역술인과 무속인이 늘었던 이유까지는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2003년에는 대형사고와 경기침체 등으로 사회 불안요인이 커질 때 역학학원 수강생이 는다는 분석을 한 기사가 있었네요. 사회가 어수선해 미래에 대한 불안이 커질 때 스스로 역학을 공부해 해답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는 겁니다.

윗 기사에서는 전문직 등 자신의 직업이 있는 사람들이 주로 거론되었지만, 취업난이 심각할 때 이쪽 업계 진입이 느는 경향도 있었다고 합니다. 학위나 자격증 등이 크게 필요없어 IMF 때처럼 경기가 침체될 때 역술인·무속인으로 전업하는 경우가 많다는 내용인데요. 2017년 말 기준으로 국내 대표적 무속인 단체(대한경신연합회)와 역술인 단체(한국역술인협회)의 회원은 각각 30만명 정도였고, 비회원까지 더하면 총 100만명이나 된다고 합니다. 이 추산치대로라면 인구 50명 당 1명 꼴이니 정말 많군요.

삶이 힘들어 조언을 구하러 찾아가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무속인과 역술인을 직업으로 선택하는 사람까지 많아진다는 건 한편으론 서글픈 일입니다. 덕분에 자격미달 무속인과 역술인도 많을 거고요.

결국 박근혜 정권 국정농단의 주인공들도, 결국 자신들의 미래는 하나도 몰랐던 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스포츠 경기의 결과가 예상대로 된다면 무슨 재미고, 사람들의 운명이 다 정해져있다면 매일의 삶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알 수 없기에 더 의미있는 게 내일이 아닐까요.

임소정 기자 sowhat@kyunghyang.com


네이버 메인에서 경향신문 받아보기
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